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0007. 현대시_먼 후일_김소월

by 안녹산 2023. 11. 29.
반응형

 

먼 후일_본문 해석

 

 

 

1.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민요적, 애상적

제재 : 떠난 임

주제 : 떠난 임에 대한 그리움

특징 : ① 3음보의 민요적 율격을 통해 리듬감을 형성함

          ② 반어적 진술을 통해 그리움을 강조함.

          ③ 가정적 상황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④ 유사한 문장 구조의 반복과 변조가 나타남.

출전 : <개벽>(1922)

 

 

 

2. 시어 풀이

나무라면 : '나무라면'의 함경도 방언

 

 

3. 시구 풀이

① 먼흣날 당신이 ~ 내 말이 “잊었노라.” : 현재 일어나지 않은 일을 가정하여 화자의 반응을 진술하고 있다.

② 당신이 속으로 ~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 당신의 질책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별 후에 쉽게 잊은 것이 아니라 무척 그리워하다가 잊었다는 점을 강하게 진술한 것이다.

③ 그래도 당신이 ~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 계속된 임의 질책에 대한 반응으로 이별 후에 임을 잊은 것은 이별을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이별을 수용할 수 없는 심정을 나타낸 것이다.

④ 오늘도 어제도 ~ "잊었노라." : 계속 당신을 잊지 않고 있었다는 내용을 통해, 이어지는 '잊었노라'라는 진술은 '잊었다'는 사실의 확인이 아닌 반어적 표현임을 알 수 있다.

 

 

4. 먼 훗날 그때의 심정은?

 

마지막 연을 통해 화자는 과거와 현재 시점에서 임을 ‘아니 잊고' 있으므로 임을 잊는다고 말히는 ‘그때'를 명확하게 알수는 없다.

 

 

먼 후일_이해와 감상

 

 

5. 이 시에 드러난 표현법과 그 효과

 

점층법

 

 

 

① 점층법 : ‘당신'을 그리워하고 잊을 수 없는 마음을 점점 더 강하게 표현함.

② 반어법 : ‘잊었노라'라는 반어적 표현으로 잊을 수 없는 그리움을 강화게 표현함.

③ 대구법 : 1연 ~ 3연까지 '~면 ~ 잊었노라'라는 동사 구조를 대응하여 그리움을 더욱 강조함.

④ 반복법 : 동일한 시어인 '당신', '잊었노라',  '먼 훗날'을 반복하여 의미 강조와 운율이 나타남.

 

 

6. 반어적 표현의 의미

 

 

반어적 표현

 

 

 

7. 이 시에 나타난 시간성

 

이 작품의 '당신'은 화자의 의식 속에 있을 뿐이며,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당신의 모습을 기억하고 떠올린 상태에 불과한 것이다. 즉, ‘당신' 은 ‘기억 속'의 당신이며, 이별하기 전까지의 ‘당신'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학자는 과거의 당신과 대화를 하는 셈이 된다. 따라서 날 찾아오는 미래의 ‘당신'은 과거에 있었던 ‘당신'의 모습을 떠올린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미래에 발생할수 있는 일은 '당신'이 현재 화자를 찾아오고, 자가 당신을 잊었다고 말하는 상황이다. 이렇게 되면 당신이 화자를 나무라는 시간은 결국 화자 자신이 가정하는 상상의 시간이며, 이 상상의 시간은 살아있는 현재의 시간이 되는 것이다. 즉, 화자가 과거에 놓여 있는 기억 속 '당신'의 모습을 바탕으로 상상한 시간일 뿐이다. 그러므로 ‘먼 후일 그때에 잊었노라'고 말한다면 누구도 정답을 낼 수 없는 ‘열린 해석'의 공간이 된다. ‘화자'에게 '당신'은 안 올 수 있으며, 온다 해도 ‘그 때'가 언제인지는 더더욱 알 수 없다.

 

 

8. 반어와 역설

 

‘잊었노라'라는 표현은 실제 자신의 마음과 반대로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표현 의도에 집중하면 반어법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시 전체의 구조를 살펴볼 때에는 내용에 명백한 모순이 나타나서 ‘어제도 오늘도 아니 잊고'라는 표현을 통해 절대 임을 잊지 않겠다고 하면서 미래인 먼 훗날에는 과거 시제 ‘잊었노라'라고 말하는 점을 고려하면 역설의 표현 방법도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9.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수정가>, 박재삼 / 임을 향한 그리움 : <춘향전>읕 소재로 하여 이별한 춘향의 애타는 그리움과 한의 정서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산문시의 형식이면서도 음악성이 두드러지며 예스러운 어투를 통해 전통의 변용을 잘 드러내었으며, 맑고 깨끗한 이미지의 시어를 통해 춘향의 마음을 나타낸다. 이별의 정한을 나타내었다는 점 등에서 <먼 후일>과 유사점을 비교하며 읽어 볼 수 있다.

 

 

 

먼 후일_키 포인트 체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