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0003_창가_경부 텰도 노래_최남선

by 안녹산 2023. 11. 13.
반응형

 

창가_경부텰도노래

 

 

 

1. 핵심 정리


갈래 : 창가
성격 : 계몽적, 예찬적
제재 : 경부철도
주제 : 개화 문명에 대한 동경과 예찬
특징 : ① 7.5조 3음보의 노래임.
          ② 각절이 4행으로 이루어진 전 67절의 장편 창가임.
          ③ 직유, 과장, 영탄 등의 표현법이 쓰임.
          ④ 가사에 따른 악보가 함께 붙어 있음.
출전 : <소년>(1908)

 

 

2. 시어 풀이

 

남대문 : ‘숭례문'의 다른 이름. 서울의 사대문의 하나. 당시는 ‘서울역'을 ‘남대문역'이라 했음.
내외 틴소 : 우리나라 사람과 외국사람, 그리고 사이가 가까운 사람과 사이가 먼 사람.

 

 

3. 시구 풀이

 

① 우렁탸게 토하난 긔뎍(汽笛)소리에 : 문명개화로 펼쳐진, 새 시대의 여명을 상징한다.
② 날개 가딘 새라도 못 따르겟네 : 남대문역을 출발한 기차가 새도 따라오지 못할 만큼 빠른 것을 표현한 부분이다.

③ 내외 틴소(內外親疎) 다 갓티 익히 디내니 : 내국인과 외국인, 연장자와 젊은이가 구별 없이 친하게 지내는새로운 사회 모습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 시각이 드러난다.
④ 됴고마한 딴 세상 뎔노 일윗네 : 기차 안의 모습으로 내 외국인이 함께 타서 별세계를 이루었음을 보여 준다.

 

 

4. 이 시의 형식적 특징이 지니는 의의

 

개화 가시는 4.4조 4음보의 전통 가사의 율격을 고수해 왔는데, 이 작품에 이르러 처음으로 이를 깨뜨리고 7.5조 3음보가 등장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5. 작가 소개

 

최남선(崔南善,1890~1957) : 시인. 사힉자. 서울 출생. 호는 육당(六堂). 최초의 종합 잡지 <소년>을 발간하여 문화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고, 근대문학 초창기에 선구적인 활동을 하였다. 시조의 부흥운동과 국사의 일반화에 힘쓰는 등 민족 계몽운동과 전통문화의 보급에 앞장 섰다. 3.1운동 때 독립 선언서를 기초하고 민족 대표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다가 투옥되었다. 후에 일제의 침략전쟁을 미화, 선전하는 등 친일활동을 하였다. 최초의 개인 시조집「백팔번뇌」(1926)와 여행기 「심춘 순례」(1925) 등의 직품집이 있다.

 

 

경부텰도노래_이해와 감상

 

 

6. 이 시의 구성

 

<경부 별도 노래>의 1절과 2절에서는 서구 문물의 상징물인 ‘기차'의 안과 밖의 모습을 예찬적 태도로 묘사하고 있다. 1절에서는 기차의 외부에 시선을 두고 기차가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하여 묘사하고, 2절에서는 기차의 내부에 시선을 두어 기차 안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7. 기차의 의미

개화기에 기차는 학교, 우편 제도 등과 함께 서구의 영향을 받은 신문명을 상징하는 대표적 소재였다. 거대한 기차의 위용과 빠르게 달리는 민첩함, 강하게 뿜어내는 증기의 모습은 서구 문물의 위력을 각인시키기에 알맞은 소재로 문명 개화와 계몽을 노래한 이 작품의 의도에 걸맞게 활용되었다. 

 

 

8. 이 시의 창작 의도

① 작품이 실린 단행본 끝부분 : '아해들로 하여금 시맛[詩趣]과 재미를 맛보게 하고 아울러 우리나라 남반구의 지리 지식을 주기 위하여 지은 것'이라 적혀 있음

② 철도라는 신문명의 도구가 지닌 이점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고자 함.

③ 다양한 문물을 소개하여 새로운 지식을 전달함으로써 당시 사람들을 계몽하려는 의도로 창작됨.

 

 

9. 작가의 시대 의식 비판

 

당시 일제는 조선을 발판으로 삼아 대륙을 침략하기 위해 경부철도를 부설하였으며, 근대화의 주체가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이 었다는 점에서 기차는 일제의 침략적 도구였다. 그런데도 작가가 철도부설로 인한 문명의 개화를 동경하고 찬양한 점은 일제에 의한 식민지 근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볼 수 있어 민족의식의 결여로 비판받을 수 있다.

 

 

10. 개화기 창가의 역할

 

개화기의 새로운 문학 갈래인 창가는 문명개화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내용을 표현하고 있으나, 형식적으로는 과거의 정형적인 율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3음보 율격의 노래를 서양의 악곡에 맞추어 부르도록 칭작되었다. 창가는 개화 가사와 신체시의 중간 단계로 볼 수 있으며, 가사의 내용보다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형식에 중점을 두었다.

 

창가 : 개화기의 시가양식 가운데 하나로, 개항 이후 수입된 서양 곡조에 맞추어 제작한 노래 가사. 개화가사, 애국가, 독립가에서 분화하여 발전되었으며, 대부분 독립과 개화의 의지를 고취하는 내용임.

 

신체시 : 산문적인 형태를 취하여 전통적인 시가 율격에서 탈피한 개화기의 대표적 시가 양식으로 새로운 시대의 사상과 정서를 담기 위한 새로운 시를 찾는 과정에서 나타났으며, 신시, 신시가, 신체시 등으로도 불렸음

 

 

 

11.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선 / 신문물을 상징하는 소재 : <해에게서 소년에게>는 바다를 의인화하여 순결하고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소년에 대한 기대를 노래한 작품이다. <해에게서 소년에게>의 바다와 <경부 텰도 노래>의 기차는 공통적으로 거대한 위력을 지니는 한편, 전통을 부정하는 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신문물을 상징한다.

 

 

 

경부텰도노래_핵심포인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