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시

0002_개화가사_동심가_이중원

by 안녹산 2023. 11. 13.
반응형

 

동심가_원문 분석

 

 

 

1. 핵심 정리


갈래 : 개화가사
성격 : 계몽적, 교훈적
제재 : 문명개화
주제 : 문명 개화를 위한 민족의 일치 단결
특징 : ① 청유형 어미를 통해 계몽적 성격을 드러냄

          ② 개화의 목표와 방법을 ‘고기'와 ‘그물'에 비유하며 형상화 함.
          ③ 대구법과 풍유법을 사용함.
출전 : <독립신문>(1896)

 

 

2. 시어 풀이

 

회동 : 함께 모임.
구구세절 : 여러 가지 잡다한 일들.
회빈 : ‘회빈작주(回賓作主)'의 준말. 손님이 주인을 제쳐놓고 주인처럼 행동하는 것.
동심결 : 두 고를 내고 맞죄어 짓는 매듭. ‘고'는 끈 따위로 서로 잡아맬  때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한 가닥을 고리 모앙으로 잡아 뺀 것.

 

 

3. 시구 풀이

① 사쳔 년이 꿈쇽이라 : 개화되지 못했던 지난 역사를 무지몽매한 상태로 보아, 꿈을 꾼 시간으로 비유한 것이다. 

② 민국(萬國)이 ~ 일가(一家)로다 : 세계가 하나로 움직이는 시대라는 뜻으로 사해동포주의와 세계주의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③ 근본 업시 회빈(回賓)하랴 : 근본도 갖추지 못한 채, 남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신의 주장만 내세워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④ 범을 보고 ~ 닭 그린다 :시대 변화를 깨닫지 못하고 탁상공론만 일삼으면서 실천적 노력을 하지 않는 당시 정세를 비판하고 있다.
⑤ 못셰 고기 ~ 잡아보셰 : 개화된 문명을 부러워 하지만 말고, 전 국민이 합심 단결하여 실천해 보자는 의미이다. 여기서 ‘고기'는 ‘개화된 문명'을, ‘동심결로 맺은 그물'은 ‘문명 개화에 대한 전 국민의 단결된 굳은 의지'를 나타낸다.

 

 

4. 작가 소개

이중원 : <독립신문>에 이 작품을 투고한 사람으로 ‘양주(楊州)사람'이라고만 소개되어 있다.

 

 

5. 근본 업시 회빈에 나타나는 작가의 태도

‘회빈(回賓)'이라는 시어는 ‘회빈작주(回賓作主)'의 준말로 주인으로서의 자격도 갖추지 못한 채 제멋대로 행동하는 태도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즉, 작가는 경쟁적으로 개화에 매달리는 세계의 형편을 파악해서 실천에 옮길 생각은 하지 않고, 주인 노릇만 하려는 당시의 정세를 꼬집고 있다.

 

 

동심가_이해와 감상

 

 

6. 소재의 의미

① 잠 : 봉건 의식에 젖어 있는 상태. 무지몽매함.

② 일가(一家) : 개화 문물의 교류로 밀접해진 국가 간의 관계

③ 범 봉 : 문명 개화가 주류를 이루는 현실 또는 세계의 실상

④ 개 닭 : 문명 개화의 실상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관념적인 현실인식 

⑤ 고기 : 개화된 문명, 부강한 나라

⑥ 그물 : 전국민의 단결

⑦ 동심결 : 합심, 협력의 굳은의지(단단한 매듭)

 

 

7.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의미(주제)

① 부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잠에서 깨어나 다 같이 힘을 합쳐 노력해야 한다.

② 문명개화를 주제로 하여, 계몽적 태도로 독자에게 사회 변화에 앞장 설 것을 요청함.

 

 

 

8. 형식적 특징과 효과

① 4 4조 4음보 : 시조, 가사 등을 통해 우리 민족에게 익숙한 보편적인 리듬이므로 독자들이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친숙함을 느낄 수 있음.

② 분연체 : 전통 가사와 같이 4 4조, 4음보가 연속되는 긴 호흡이 아니라, 4 4조가 4회 반복된 후 연이 마감되는 짧은 호흡이므로, 독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계몽적 메시지에 보다 집중할 수 있음.

③ 청유형의 문체 : 개인의 주관적 정서가 아니라 공적인 교훈을 전달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를 독자가 쉽게 알 수 있음.

④ 비유적 표현 : 문명개화의 대상과 목표를 '고기'에, 이를 위한 민족의 대동단결 의지를 '그물'에 비유하여 문명 개화를 위한 민족의 일치단결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음.

 

 

9. 이 작품에 나타난 시대적 제약성

1연에서 작가는 우리의 지난 4천 년 역사를 '꿈속'으로 규정하고, 여기서 벗어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밀려드는 서구 문명의 압도적 우세를 실감하던 당시 상황에서는, 국력의 쇠퇴와 문화 정체, 주권의 약화 등을 가져온 원인이 전통문화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당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당시 자생적으로 진행되어 오던 우리의 문화 발전이 일제를 비롯한 서구 침략주의의 비윤리적 행태로 저지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또 서구의 실용적 과학 문명만을 우월하다고 보는 시각이 부당한 판단이라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동심가>에 드러난 작가의 시각은, 당대 서구 열강의 침략이라는 개화기의 시대적 상황에 의해 제약된 측면이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0.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애국하는 노래>, 이필균 / 문명 개화를 노래한 개화가사 : <애국하는노래>는 개항 이후에 밀려 오던 외세에 맞서 자주독립과 문명개화를 통해 부강한 국가를 건설할 것을 노래한 작품이다. <동심가>와 <애국하는 노래>는 과거의 봉건적인 사상을 깨뜨리고 개화된 국가 수립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하지만 <동심가>와 달리 <애국하는 노래>는 국제 정세를 순진하게 인식하거나 외세를 무비판적으로 받아 들이지 않고 외세에 맞서 자주독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동심가_핵심포인트

 

 

 

동심가

 

 

 

11. 화자의 정서와 태도

① 근본 업시 회빈(回賓)하랴

② 범을 보고 개 그리고 봉을 보고 닭 그린가

 

◆ 현실에 대한 인식 없이 쇄국 정책을 펴거나 외세에 의존하던 현실을 비판하고 있음

 

 

12. 시어 시구의 의미2

 

 

시어 시구

 

 

13. 표현상의 특징

① 44조 4음보 : 전통적 율격을 사용하되 분연체로 노래하여, 독자들이 친숙함을 느끼고 내용을 쉽게 이해하도록 함.

② 청유형 어미  

 ㉮ 잠을 깨세

 ㉯ 샹하 동심 동덕하세

 ㉰ 그믈 매자 잡아 보세

 ㉱ 동심결노 매자 보세 

③ 독자들의 행동을 촉구하는 계몽적인 성격임.

 

 

14. 선택지 진술이 맞으면 0표, 틀리면 X표

① 화자는 당시의 세태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0)

② '잠'은 개화 이전의 무지한 상태를 가리키고, ‘꿈 쇽'은 이러한 상태를 극복한 개화된 세상을 의미한다. (X)

③ ‘동심결'은 개화를 위해 필요한 자세를 나타낸다. (0)

④ 전통 가사와 동일한 형식을 사용하여 독자들이 친숙함을 느끼게 하고 있다. (X)

⑤ 비유적 표현을 활용하여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0)

⑥ 청유형 어미를 사용하여 우리 민족의 행동을 촉구하는 계몽적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 (0)

 

 

 

15. 이 시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청유형 어미를 활용하여 독자의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② 4 . 4조, 4음보의 전통적인 가사의 율격을 유지하고 있다.

③ 2음보를 1행, 4행을 1연으로 하는 분연체로 구성되어 있다.

 

 

 

반응형